컴퓨터 구조 (2) > Memory 기본 개념

구조

image

계층

Register > Cache > RAM > Virtual Memory

왼쪽으로 가면 더 빠르고,
오른쪽으로 가면 용량이 더 크다.

Register

제일 빠르고, 제일 작은 용량
보통 CPU에 직접적으로 내장되어 있다.
CPU가 현재 사용할 데이터와 실행할 명령어들을 저장

Cache

자주 접근하는 데이터와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고속도 메모리
CPU와 RAM사이에 위치하여 buffer역할을 한다. (데이터 접근 속도 증가)

  • 메모리와 CPU 속도 차이는 극심하게 차이나여 병목현상을 줄이기 위함
  • CPU에 내장되어 있거나 메인보드에 위치한다.

L1: Level 1 Cache

  • 가장 작으면서 가장 빠른 cache memory
  • CPU에 내장되어 있고, CPU에서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와 현재 연산 중인 명령어들을 저장

L2: Level 2 Cache

  • CPU에 내장 되어 있을 수도 있고 메인보드에 있을 수도 있다.
  • L1에서 만큼 많이 빈번하게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와 명령어들을 저장

RAM

volatile: 컴퓨터 끄면 시 저장된 데이터가 날라감
CPU가 현제 사용하고 있는 데이터와 명령어를 저장

Ramdom Access Memory로 이름이 붙인 이유는 임의의 순서로 원하는 메모리 위치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
초기 유형의 메모리 처럼 올바른 위치로 회전할 때 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무작위로 접근할 수 있다

즉, CPU가 메모리 내에 위치에 관계없이 어떤 위치에도 직접 접근 할 수 있다는 의미.

Virtual Memory

Hard disk를 마치 main memory 처럼 사용하도록 해주는 기능
물리적으로 더 많은 main memory가 있는 것처럼 동작